Video Thumbnail 04:26
우리 회사 매각하고 싶은데, 기업가치평가 어떻게 하나요? M&A 전문가가 알려주는 인수합병 A to Z | M&A 백과사전
1.1K
34
2024-10-07
기업가치 평가의 정의와 방법 그리고 가치평가를 높게 받는 법! M&A 인수·매각 생각 있으시다면? ➡️ https://vo.la/uurlTo 00:00 기업가치평가란 무엇인가요? 00:58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기업가치평가 차이 01:51 기업가치평가방법 첫 번째, 수익 접근법 02:34 기업가치평가방법 두 번째, 시장 접근법, 자산 접근법 03:24 매각 기업이 기업가치를 높이는 방법 #브릿지코드 #인수합병 #기업분석
Subtitles

m& ES 기업 가치 평가란 매각 기업의 적정한 거래 가치를 산정하는

과정입니다 기업을 거래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상품 거래나 부동산 거래와는

다르게 가격표가 정해져 있는게 아닙니다이 가격에 거래가 되어야

한다고 논리적으로 협상하는 과정이라고 이해하시는게 더 맞을 것 같습니다

매각 기업의 대표님은 보통 영업권이 자산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해서

가격을 높게 기대하시는 경우가 많지만요 인수기업 입장에서는 매각

기업의 안정적인 현금 창출 능력이나 시너지 효과에 관심이 많고 리스크를

감안해서 보수적으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m& ES 양측의

의견이 상의한 경우는 일반적이고 그래서 전문적인 조율과 협상이

중요합니다 매각 기업은 현실적인 기업 가치를 이해하고 명확한 근거를

준비해야 되고요 인수 기업은 무조건 낮은 금액 제시보다는 초기부터

합리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중소 벤처 기업 그리고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은 기업의 규모만큼이나 기업 가치 평가의 접근

방식도 다릅니다 먼저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은 주로 재무적 지표를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안정적인 수익과 현금흐름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명확하게 평가할

수가 있고 특히 상장사는 주식 시장에서의 시가 총액으로 가치 평가를

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비상장 기업이 대부분인 중소 벤처

기업은 현재 재무 상태보다는 미래 가치와 성장 잠재력이 더 중요할 수도

있고요 사용자 지표 기술력 인적 자원 같은 무형의 자산이 평가받는 기업

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기도 합니다 결국 대기업은 안정성과 수익성에

중소벤처 기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에 중점을 두고 평가된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에서 기업 가치 평가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수익 접근법인이 방법은 기업의 미래의 수익

창출 능력을 바탕으로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는 DCF 고도

하는 현금흐름 할인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가 비사를 인수하고자 할 때

비사의 미래 5년간 예상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적절한 할인율을 적용해서

현재 가치로 환산하는 것입니다이 방법은 미래의 수익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기업의 성장 잠재력을 반영할 수는 있지만 미래 예측에 불확실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고 장성이 꾸준하게 높은 기업에게 적합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음은 시장 접근법입니다 비슷한 기업이나 거래를 찾아서 그

가격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인데요이 방법은 유사한 기업들의 시장 가치를

참고하여 평가하는 방식으로 EV 에비다 같은 지표를 활용합니다 유사한

기업이 인정받았던 멀티플을 반영해서 현실적인 가치 산정이 가능하지만이

세상에 똑같은 기업은 없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완전하게 동일한 기업을

찾기 어렵기 때문에 비교대상 선정에서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자산 접근법입니다이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시장 가치에서 부채를 차감해서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인데요 유형 자산이 많은

기업에게 적합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다만 무형 자산을 제대로 반영하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분명히 있습니다 매각 기업이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먼저 재무 성과를 개선해야 됩니다 매출 영업 이익 같은

핵심 지표를 향상시키면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이 높아져서 가치가

상승합니다 두 번째로는 브랜드와 고객 기반의

강화입니다 강력한 브랜드와 충성도 높은 고객은 비재무적 자산으로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세 번째로는 시너지 업과

강조 있데요 임수 기업에게 통화후에 비용 절감 매출 성장 같은 시너지

효과를 명확하게 제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리스크 관리입니다 재무적

리스크 법정 리스크를 미리 관리해 두면 기업 가치 설득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기업 가치 평가는 결국 단순한 숫자 게임이 아닙니다 가치

평가의 특성을 이해하고 최적의 협상을 이끌어내는 전략적인 의사 결정입니다